보도자료
청구경희한의원 신사점 보도자료 입니다.
잦은 목, 어깨 담결림, 거북목 살펴보기 manager 2015-08-27 07:34:20 |
첨부파일 첨부파일이 없습니다. |
# 강남 인근 증권사에 근무하는 박 모씨는 유독 담결림이 심하다. 하루종일 사무실에 앉아서 근무한 날이나 잠을 조금이라도 제대로 못 잔 날이면 다음 날 목, 어깨 담이 결려 컨디션이 영 아니다.
거북목있으면 목, 어깨 담 자주 결릴수도
박 모씨처럼 목, 어깨 담이 자주 결리는 사람들이 있다. 당해본 사람만이 안다고 심한 담 결림은 일상생활을 제대로 하기 힘들 정도로 통증이 심하다.
만약 이렇게 자주 담이 결린다면 목 뼈를 한 번쯤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. 특히 스마트폰 사용량이 늘어나면서 자주 스마트폰을 들여보기 위해 고개를 푹 숙이거나 학업, 업무때문에 장시간 책상에 앉아 모니터나 책을 들여다보는 시간이 많은 경우 거북목일 확률이 높다.
거북목은 말 그대로 목 뼈가 거북이처럼 앞으로 쭉 뻗는 형태를 말하고, 이로 인해 주변 목이나 어깨 주변 근육도 함께 굳어 통증을 유발하는 상태를 말한다. 자연스럽게 팔을 늘어뜨리고 바로 선 자세를 옆에서 봤을 때 어깨선과 귀의 위치가 대체로 일직선상에 놓여야 하는데, 거북목의 경우 둘의 위치가 2~2.5cm 이상 떨어져 있을 정도로 목이 쭉 빠져 있다.
즉 C자형이어야 할 경추가 거북목처럼 일자로 펴지게 되면 정상 경추에 비해 근육에 결리는 부담이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유연성이 떨어져 다른 사람보다 쉽게 담결림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. 특히 잠을 자는 시간 동안에는 수면 자세나 베개 사용에 따라 근육의 긴장도가 더 높아지면서 다음 날 어깨에서 등까지 함께 결리기 쉽다.
틀어진 경추 추나요법으로 교정하면 담 결림 줄어
청구경희한의원 신사점 이웅경 대표원장은 “ 거북목이야말로 추나요법 교정으로 많은 효과를 볼 수 있는 증상으로 틀어진 목 뼈와 주변 근육을 제 위치로 맞춤 교정하게 되면 잦은 담결림 증상을 치료, 예방할 수 있다 “ 라고 말한다. 추나요법과 더불어 거북목 주변으로 함께 굳은 근육을 침, 한방물리요법 등으로 풀어주게 되면 치료 효과는 더욱 높아진다.
만약 경추가 거북목처럼 일자로 펴진 상태라면 수면 시 베개사용부터 주의하는 것이 좋다.
![]() |